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왕고래에 대해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좀 더 다양한 생김새의 해양 동물을 소개하고 싶었는데 어쩌다 보니 이렇게 되었네요. 양해 부탁드리며, 다음에는 더 흥미로워할 만한 멸종 위기 해양 동물 포스팅을 가져오겠습니다.
대왕고래는 영어로 Blue Whale이라고 하는데 이로 검색되는 이미지가 대부분 혹등고래라 사진을 찾기가 정말 힘들었습니다. 사진을 봐서는 대왕고래의 생김새가 눈에 잘 띄지 않는데요. 아래에서 대왕고래의 생김새를 자세하게 다룰 예정이니 읽으면서 대왕고래의 모습을 상상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그럼 멸종 위기 위기 단계인 대왕고래에 대해 함께 알아봅시다.
1. 대왕고래(흰수염고래)의 생김새
대왕고래는 현존하는 동물 중에서 가장 크기가 큰 동물입니다. 그 크기가 얼마나 크냐면 평균 크기가 무려 24m나 됩니다. 가장 큰 개체는 33m를 넘는 크기였으며, 무게는 190톤이었습니다. 감히 상상도 안 되는 크기와 무게입니다. 인간은 평균적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큰 데에 반하여 대왕고래는 암컷이 조금 더 큽니다. 또한 북반구에 서식하는 대왕고래가 남반구에 서식하는 대왕고래보다 더 크다고 합니다.
대왕고래는 무게가 평균적으로 150톤 가까이 나가다 보니 대왕고래를 이루고 있는 각각 기관의 무게도 엄청납니다. 대왕고래 혀의 무게는 약 3톤 정도에 달하며, 심장의 무게는 1톤에 달합니다. 그리고 무려 30톤이 넘는 두터운 지방층을 가지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심장에서 뻗어 나오는 대동맥의 크기는 사람이 수영을 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입니다. 또한, 농구공보다 큰 눈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왕고래는 전체적으로 회색빛의 피부로 덮여 있습니다. 그러나 물속에서는 푸른색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전체적인 외형은 길고 가느다라며, 머리는 넓고 납작한 모양으로 생겼습니다. 이름이 흰수염고래임에도 불구하고 실제 수염은 검은색이며, 몸의 양측면과 배 쪽은 연한 빛깔의 흰색을 띱니다.
대왕고래는 위턱의 양쪽에 60~88개의 목주름을 가지고 있으며, 오리발과 지느러미, 꼬리, 수백 개의 수염판을 가지고 있습니다. 등지느러미는 항문 위쪽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는 가슴지느러미에 비하면 아주 작은 크기입니다. 지느러미는 모두 남색빛을 띠고 있습니다. 등지느러미에는 개체마다 고유한 색소 패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 식별할 수 있습니다.
2. 대왕고래(흰수염고래)의 특징
대왕고래는 100년이 넘는 긴 수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100년의 수명 중 약 10년 동안은 어미와 함께 생활하며, 하루에 2.5cm씩 성장합니다. 이러한 성장 덕분에 20m가 훌쩍 넘는 크기로 성장할 수 있는 것입니다.
대왕고래는 앞서 말했듯 현존하는 동물 중 가장 크기가 큰 동물입니다. 이런 대왕고래도 천적이 있는데요. 알려진 바로는 범고래가 유일한 대왕고래의 천적입니다. 그렇지만 대왕고래는 크기가 무척 크기 때문에 범고래가 대왕고래를 공격하기 위해 쫓더라도 탈출 확률이 굉장히 높습니다. 범고래가 대왕고래를 공격하려면 대왕고래가 범고래보다 느리게 이동하거나 멈춰 있어야만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는 대왕고래 성체의 이야기이고, 크기가 비교적 작은 대왕고래의 어린 개체들은 범고래 공격의 표적이 되기가 비교적 쉽습니다. 그렇지만 그마저도 여러 마리의 범고래가 동시에 오랜 시간 동안 공격을 가해야만 대왕고래의 어린 개체를 상대할 수 있으며, 이도 성공할 확률이 극도로 낮습니다. 그러다 보니 일부 성공 사례가 알려져 있는데, 범고래 30마리 또는 75마리가 한 번에 작은 대왕고래 한 마리를 공격한 경우입니다.
대왕고래는 무려 315m의 수심까지 잠수할 수 있으며, 헤엄 속도는 최고 속력이 40km/h 이상이 날 정도로 엄청나게 빠릅니다. 뿐만 아니라 굉장히 오랜 시간 동안 헤엄을 칠 수 있어 최고 속력으로는 수십 분, 평균 속력으로는 1시간 이상 헤엄쳐 이동할 수 있습니다. 고래 연구학자들의 관측에 의해 대왕고래가 열흘동안 4,000km를 이동한 것이 관찰되기도 하였습니다.
3. 대왕고래(흰수염고래)의 서식지
대왕고래는 섭씨 약 5~20도의 한대, 온대 수역에서 서식합니다. 남반구보다 분반구에 많은 개체수가 서식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먹이를 찾기 위해 높은 위도에서 생활하며, 짝짓기와 같은 번식 활동을 위해 낮은 위도에서 생활하기도 합니다.
캘리포니아 몬테레이만, 샌디에이고 앞바다 등 캘리포니아 근처 바다에서 대왕고래를 목격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북대서양, 캐나다, 아이슬라드 등에서도 대왕고래를 목격할 수 있으며, 한반도에서는 함경북도 어랑군, 경성군, 청진시 등에서 간혹 목격되기도 합니다.
4. 대왕고래(흰수염고래)의 개체수가 줄어드는 이유
대왕고래의 개체수가 줄어들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고래 사냥(포경)입니다. 과도한 포경 활동으로 인해 급격하게 대왕고래의 개체수가 줄어들었습니다. 포경 활동을 하는 이유는 대부분 대왕고래의 두터운 지방층에서 얻는 기름 때문이지만, 고래 고기가 유통되기도 합니다.
5. 마무리
저의 포스팅을 읽는 시간이 대왕고래에 대해 많은 정보를 얻어갈 수 있는 유익한 시간이었길 바랍니다. 앞서 말했듯이 다음은 좀 더 새로운 멸종 위기 해양 생물을 소개하는 글로 찾아오겠습니다. 저의 대왕고래 소개 포스팅을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른 멸종 위기 해양 생물에 관심 있는 분은 아래 링크를 클릭해 주시길 바랍니다.
멸종 위기인 고래상어에 대해 알아보자
이번 포스팅도 지난 번 발행했다가 날아가버렸던 멸종 위기 해양 생물을 다시 소개하는 포스팅입니다. 바로 고래상어를 소개해보려고 해요. 다시 쓰는 만큼 더욱 알차게 정보를 담아 작성해보
ilyoggus2.tistory.com
멸종 위기인 개복치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에서 언급했듯이 개복치에 대해 소개하는 포스팅을 가지고 찾아왔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개복치 이름의 유래, 개복치의 서식지와 생김새에 대해서 소개를 해드리
ilyoggus2.tistory.com
멸종 위기인 듀공에 대해 알아보자
이전에 작성했던 글이 날아가게 되어 어쩌다 보니 듀공이 첫 번째로 소개해 드리는 멸종 위기 해양 생물이 되었습니다. 듀공이라는 이름은 아마 대다수가 낯설 것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저도 자
ilyoggus2.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