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에 작성했던 글이 날아가게 되어 어쩌다 보니 듀공이 첫 번째로 소개해 드리는 멸종 위기 해양 생물이 되었습니다. 듀공이라는 이름은 아마 대다수가 낯설 것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저도 자료를 찾아보다가 처음으로 들어봤습니다. 저에게는 낯선 이름이지만, 듀공에 대한 정보가 꽤나 많이 공개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총 3개의 포스팅으로 듀공을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듀공의 이름을 들은 것이 오늘 처음이었기 때문에 듀공을 이 사진으로 처음 접했습니다. 너무 귀여운 외모입니다. 듀공의 생김새가 잘 드러나도록 전체 외형이 담긴 사진을 보여드릴까 고민을 했으나, 듀공의 얼굴이 너무 귀여워서 이 사진을 가져왔습니다.(다음 포스팅에서 옆모습 사진을 보여드리겠습니다.)
듀공은 바다소목 듀공과로 분류되어 있는데, 듀공이 속한 바다소목에는 모두 멸종되고 단 4종이 남아 있다고 합니다. 듀공에 대해 알아보고 관심을 기울여 주시길 바랍니다.
1. 듀공의 시작
듀공은 영어로 'dugong'이라고 표기하는데, 이는 필리핀 군도에서 널리 쓰이는 낱말인 'dugung(두궁)'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유전학적으로 살펴보면, 듀공은 해양에 서식하는 다른 포유류보다는 유전적으로 코끼리와 가깝다고 합니다. 그 때문인지 듀공은 현존하는 해양 포유류 중 유일한 초식성 동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듀공은 동일한 조상으로부터 점점 진화하여 매너티와 갈라지고 이후에는 스텔러 바다소와 갈라진 것으로 확인됩니다. 하지만 스텔러 바다소는 남획으로 인하여 이미 멸종되어 버려 이제 듀공만이 남아 있습니다.
듀공이라도 다 같은 듀공이 아닙니다. 듀공에 관한 분자 연구에서 듀공의 서식지에 따라 분포하는 듀공의 유전자가 다르다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하지만 외형상 크게 두드러지는 차이나 유전적으로 큰 차이를 발견하지는 못했다고 합니다.
2. 듀공의 생김새
듀공의 전체 몸길이는 대략 2~3m까지 자라지만 대부분 3m에 미치치 못합니다. 듀공의 전체적인 외형은 여느 바다소와 같이 몸통이 가장 두껍고 머리, 꼬리로 갈수록 좁아지는 방추형입니다. 등지느러미와 뒷다리는 없지만, 꼬리지느러미와 앞다리를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듀공의 꼬리는 가운데가 파여 있는 모양으로 납작하게 생겼습니다. 이러한 생김새 덕분에 물의 저항을 덜 받아 위아래로 움직이며 헤엄을 칠 수 있는 것입니다. 여기서 흥미로운 사실 하나를 말씀드리자면 듀공은 꼬리를 움직여 방향을 전환한다고 합니다.
듀공의 앞지느러미는 평평하게 생겼으며, 듀공의 몸길이의 약 15% 정도 되는 길이입니다. 이 앞지느러미 또한 듀공이 물속을 헤엄쳐 나아갈 때 방향을 전환하거나 멈출 수 있게 도와줍니다. 듀공의 이러한 꼬리와 지느러미는 돌고래와 유사하게 생겼습니다. 그러다 보니 다른 바다소목 동물과 쉽게 구분 지을 수 있습니다.
듀공의 피부색은 태어났을 때는 흰색에 가까운 옅은 빛깔을 띠지만, 점차 자라면서 대체로 회색 빛이나 옅은 갈색 빛을 띱니다. 피부가 두껍고 주름이 져 있다 보니 거칠 거라고 생각이 들지만, 부드러운 피부를 가지고 있습니다. 몸에는 듬성듬성 적은 양의 짧은 털을 가지고 있는데 그 길이는 3~5cm 정도입니다. 이러한 특징은 모든 바다소목 동물이 가지고 있는 특징입니다. 이 털이 촉각을 담당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도 놀라운 사실입니다. 듀공은 주식인 해초를 잡아 뜯어먹기 위해 윗입술 근육이 발달해 있으며, 아래로 늘어진 형태의 주둥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윗입술과 주둥이에 앞서 말했던 털이 특히 밀집되어 있습니다.
듀공은 치아 구조에도 큰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치열이 단순하며, 치아를 새로 갈지 않습니다. 듀공은 엄니를 2개 가지고 있는데, 이를 통해 듀공의 나이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보통 수컷이 암컷보다 엄니가 더 크게 발달하여 위턱뼈 끝까지 닿는 경우도 있습니다.
듀공은 머리 옆쪽으로 귀를 가지고 있으며, 귓바퀴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듀공의 코는 별다른 모양 없이 머리 앞쪽으로 콧구멍이 뚫려 있습니다. 이러한 콧구멍은 특이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바로 콧구멍을 자유자재로 여닫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기능으로 콧 속으로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습니다.
3. 마무리
듀공의 생김새에 특징이 많아 생김새 정보만으로도 긴 글이 되었습니다. 듀공이 서식하는 곳과 듀공의 특징이 어떻게 되는지에 관한 정보는 다음 포스팅에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제 글을 읽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 인사드립니다.
댓글